대학가로 되돌아가는 직장인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슨 이유일까요? <br /> <br />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, 고물가 부담에 주거비와 생활비를 줄이기 위해서라는데요. <br /> <br />같은 서울이어도, 대학가와 직장가의 주거 비용 차이가 큰데요. <br /> <br />부동산 정보 플랫폼으로 신림동과 서초동, 익선동의 원룸을 검색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역과 거리에서는 차이가 조금 나지만 준공 연도와 면적 등을 고려해서 비슷한 곳을 찾아봤는데요. <br /> <br />보증금은 서초동과 익선동이 신림동보다 크게 높았고요. <br /> <br />월세 역시 직장가가 대학가보다 10만 원 넘게 비쌌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이렇다 보니, 지난해부터 직장인들이 대학가 원룸으로 모여들었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 개강 시즌에는 원룸 매물이 더 귀해져 대학생들이 집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한동안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질 거라고 전망하는데요. <br /> <br />사회 초년생들이 거주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세액공제 확대 등의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사회 초년생들, 치솟은 물가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안 오른 게 없는데, 특히 얼마 전 소주 한 병이 6천 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소식에 퇴근 이후 술 한 잔도 부담스럽게 됐다며 많은 직장인이 한숨을 쉬기도 했죠. <br /> <br />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1년 전보다 5.7%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이후 24년 만에 가장 크게 오른 겁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이유로 대학가로 향하는 직장인도 늘고 있다는데, <br /> <br />실제 저녁 시간대 유동 인구를 보면 직장가는 줄고 대학가는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자료를 보면 직장인이 많은 강남역 유동인구는 1, 2월 오후 저녁 시간 기준으로, 지난해보다 18% 정도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대학가 유동인구는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대학들이 모여 있는 신촌역의 유동인구는 28% 넘게 늘었고요. <br /> <br />안암역도 22% 넘게, 회기역도 18% 넘게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학가를 떠나지 못하는 직장인들을 '캠퍼스 캥커루족'으로 부르기도 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31319323931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